하나기술은 이차전지 장비업체로 정밀 자동화 기계 및 검사장비의 제작과 판매를 목적으로 2003년 3월에 설립되었고, 2020년 11월 25일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다.
전지(Battery)는 일차전지와 이차전지로 구분된다. 보통 일차전지는 충전한 후 한 번만 사용되는 전지를 말하며, 이차전지는 연속적인 충ㆍ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를 말한다. 이와 함께 이차전지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예를 들어 외형에 따라 크게 원형(Cylindrical), 각형(Prismatic), 파우치(Pouch)형 전지로 구분되고, 크기와 용도에 따라 IT제품 등에 사용되는 소형 전지와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중대형 전지로 구분된다. 하나기술은 원형, 각형, 파우치형 등 모든 종류의 이차전지 장비를 제작하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 생산 공정은 크게 극판공정, 조립공정, 화성공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화성공정 이후에 완성된 셀을 모듈 및 Pack으로 구성하는 Pack 조립공정과 검사공정 등의 기타공정이 있다. 하나기술은 조립공정과 화성공정, Pack 조립공정 장비 및 검사장비를 제작/납품하고 있는데, 특히 조립공정과 화성공정은 Full-Line 자동화 장비를 제작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 극판공정과 관련해 하나기술은 레이저 노칭 장비와 레이저 커팅 장비 등을 제작하고 있으며, 극판공정의 핵심 장비를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하나기술은 현재 주력사업인 이차전지 장비제조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기업성장을 위해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장비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하나기술 사업부문별 매출액 추이(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구분 | 2022년 3분기 | 2021년 | 2020년 |
이차전지 장비 | 제 품 | 이차전지 제조장비 |
내수 | 17,402 | 46,870 | 65,761 |
수출 | 51,174 | 66,075 | 22,206 | |||
기 타 | 기타(제품 외) | 내수 | - | 56 | 75 | |
수출 | - | - | - | |||
합 계 | 68,576 | 113,001 | 88,042 |
잘 알려진 것처럼 하나기술은 이차전지 장비와 관련해 상당한 기술력을 축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나기술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연구활동을 진행해 오고 있다. 하나기술의 연구개발 비용 추이를 보면 아래 표와 같다.
하나기술의 연구개발비용(단위 : 백만원)
구 분 | 2022년 3분기 (제20기) |
2021년 (제19기) |
2020년 (제18기) |
|
원재료비 | 2,794 | 1,128 | 962 | |
인건비 | 1,033 | 1,115 | 1,415 | |
감가상각비 | 58 | 38 | 27 | |
위탁용역비 | - | 146 | - | |
기 타 | 72 | 239 | 257 | |
연구개발비용 계 | 3,957 | 2,666 | 2,661 | |
회계처리 | 판매비와 관리비 | 3,957 | 2,666 | 2,661 |
제조경비 | - |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5.77% | 2.36% | 3.02% |
위 표에서 보는 것처럼 하나기술의 연구개발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9.6억원에서 2021년 11억2,800만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난데 이어, 2022년에는 3분기까지 누적액이 약 28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도 2020년 3.02%에서 2022년에는 5.77%로 크게 늘어났다.
연구개발 실적
연구과제 | 연구기관 | 연구결과 | 기대효과 | 상품화 내용 |
전해액 고속 주입 기술 개선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전해액 주입시 진공시간 단축, 속도 350ppm 개발 완료 - 주액호퍼 기술개선으로 오염방지 개발 완료 - 주액 프로세스 개선으로 공정시간 단축 - 2018.07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특허 등록 |
- 생산 공정 속도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 - 주액시 발생 오염방지로 전지품질 개선 |
- 350ppm 원형전지 전해액 주액기 |
원형전지 외부탭 용접 기술 개선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위치정렬 기술개선, 양ㆍ음극탭의 용접기술 개발 완료 - 용접방법을 180도 회전 기술 적용 - 용접 품질검사 연동기술 개선 - 2018.09 원형전지 위치정렬 장치, 용접장치 특허 등록 - 2018.10 원형전지 외부탭 용접장치외 1건 특허 등록 |
- 생산 공정 속도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 - 용접과 용접품질 검사연동 공정 편의성 개선 - 정밀 용접기술 개선으로 전지 불량률 감소 |
- 외부탭 용접기 - 각형, 파우치형 용접기에 기술 응용 |
극판공정 노칭기 (Notching)개발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극판 양면 레이저 노칭기술 개발 완료 - 극판 패턴 가공기술 개선 완료 - 2019.03 이차전지 노칭시스템 특허 등록 - 2019.08 진공롤링부 구비하는 노칭시스템 특허등록 |
- 극판공정 핵심 장비기술 보유 - 양면레이저 노칭시스템 구현, 공정 시간 단축 - 레이저 노칭시 발생하는 이물 최소화 |
- 선행기술 개발장비로 프로모션 진행중 - 레이저 조사 정밀도 개선중 |
각형전지 충방전 기술 개선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충방전 가압시 자성부재를 이용한 가압기술 개발 완료 - 정밀 가압기술 개발 완료 - 2019.03 각형 배터리 충방전 장치 특허 등록 |
- 자성을 이용한 가압방식 적용으로 불량 방지 - 가압충방전 품질 향상 - 화성공정 효율 개선 |
- JIG 포메이션 - 가압충방전기 |
셀 활성화 (Formation) 충방전기 제어 기술 개선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5V6A-256ch Formation 충방전기 개발 완료 - 배터리 전압 정밀도 : ±2mV - OCV 정밀도 : ±1mV - 배터리 전류 정밀도 : ±0.1% - 반고체 전지 적용 장비로 개발 완료 - 반고체 전지 양산 장비기술 관련 특허출원 준비 중 |
- 151Cell을 동시 및 개별 충방전 가능 - 배터리의 균등 충전 특성 구현 - 가압기술 개선으로 장비 성능 향상 |
- 반고체 전지용 화성공정 충방전기 - 20.04 장비수주 - 20.09 태국GPSC에 납품 |
화성공정 디게싱 (Degassing) 기술 개선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디게싱 장비의 씰링Unit과 펀칭Unit 기술개선 완료 - 더블 사이드 가압기술 개선 - 장비 레이아웃 축소 완료 - 디게싱 챔버 구동기술 개선완료 - 2019.11 배터리 셀 디게싱 장치 특허 등록 - 2019.07 배터리 셀 디게싱 방법 특허 출원 |
- 공정 효율 극대화 - 가격경쟁력 확보 - 장비의 유지보수 편의성 향상 |
- 디게싱 장비 - 디가스 앤 힛팅 장비 - 디가스 앤 폴딩 장비 - 더블사이드 폴딩 장비 |
대용량 배터리 팩 Tester 개발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600V300A-2ch 배터리 팩 테스트(360kW) - 2019.11 양산장비 개발 완료 - 양방향 회로 2레벨 구성을 3레벨 전력변환 개선 완료 - HRPWM제어에 따른 충방전 정밀도 향상 - 배터리 전압 전류 정밀도 : ±0.1% - 배터리 전류 상승 및 하강시간: 4ms이하 - 충방전 전환시간 : 8ms이하 - 관련특허 출원 중 |
- 최종 성능검사 장비 수주 확대 - 재생 배터리 검사장비로 전용 가능 - 연구개발장비로 전용 가능 |
- 상용화 장비 개발 완료 - 정부, 민간기업에 프로모션 진행 중 |
초박판 글라스 가공 기술 개선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2019.06 글라스 열면취(Heat Chamfering) 개발 완료 - 0.05T 초박판 유리가공 검증 완료 - 굽힘 강도 검증 완료 - 2020.03 유리 밴딩장치 및 밴딩 방법 특허출원 |
- 폴더블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가공에 적용 - 불산을 이용한 가공기술의 대체기술 - 다양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산업에 적용 |
- 장비 개발 완료 - 가공 정밀도 개선 중 - 고객사와 NDA체결, 공동기술개발 진행 중 |
글라스 표면 열박리 (Heat Digging) 기술 개발 |
(주)하나기술 중앙 연구소 |
- 2019.12 기술개발 완료 - 글라스 표면 열박리 가공기술 개발 - 가공 정밀도 폭 MAX 2mm/ 깊이 0.5mm 검증 완료 - 연마가공 대비 가공시간 50% 단축 |
- 스마트폰 90도 직각 커버글라스 가공 - 초박형 스마트워치, IT제품 커버글라스 가공 |
- 장비 개발 완료 - 가공 정밀도 개선 중 - 고객사와 NDA체결, 공동기술개발 진행 중 |
그리고 이 같은 연구개발 실적으로 바탕으로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하나기술의 지적재산권 현황
번호 | 구분 | 내 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적용제품 | 출원국 |
1 | 특허권 | 대면적 OLED 기판 형성 방법 | (주)하나기술 | 2008.04.21 | 2008.12.03 | 디스플레이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 | 특허권 | 가열 프레스 장치 | (주)하나기술 | 2012.08.27 | 2014.04.15 | 극판, 화성공정 장비 | 대한민국 |
3 | 특허권 | 전해액 주입 장치 및 주입 방법 | (주)하나기술 | 2018.02.27 | 2018.07.04 | 전해액 주입장치 | 대한민국 |
4 | 특허권 | 원통 전지 외부탭 용접 장치 | (주)하나기술 | 2018.04.02 | 2018.10.10 | 조립공정 용접장치 | 대한민국 |
5 | 특허권 | 원통 전지 외부탭 용접 방법 | (주)하나기술 | 2018.04.30 | 2018.10.10 | 조립공정 용접장치 | 대한민국 |
6 | 특허권 | 원통 전지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 | (주)하나기술 | 2018.04.30 | 2018.09.13 | 조립공정 용접장치 | 대한민국 |
7 | 특허권 | 각형 배터리 충방전 장치 | (주)하나기술 | 2018.12.06 | 2019.03.22 | 화성공정 충방전장치 | 대한민국 |
8 | 특허권 | 이차전지 전극 노칭시스템 | (주)하나기술 | 2018.12.06 | 2019.03.11 | 극판공정 노칭장비 | 대한민국 |
9 | 특허권 | 진공롤링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전극 노칭시스템 | (주)하나기술 | 2018.12.06 | 2019.08.02 | 극판공정 노칭장비 | 대한민국 |
10 | 특허권 |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 (주)하나기술 | 2019.07.02 | 2019.11.04 | 디게싱 장비 | 대한민국 |
11 | 특허권 | 배터리 셀 디가싱 방법 | (주)하나기술 | 2019.07.02 | 2021.03.26 | 디게싱 장비 | 대한민국 |
12 | 특허권 | 이차전지 충방전 보호 시스템 및 방법 | (주)하나기술 | 2020.02.27 | 2021.12.24 | 화성공정 충방전장비 | 대한민국 |
13 | 특허권 | 유리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방법 | (주)하나기술 | 2020.03.11 | 2022.10.28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14 | 특허권 | 가변적인 출력전압 범위를 가지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 (주)하나기술 | 2020.04.01 | 2022.03.14 | 화성공정 충방전장비 | 대한민국 |
15 | 특허권 | 이차전지 충방전기 고장 예측시스템 및 방법 | (주)하나기술 | 2020.04.08 | 2022.01.27 | 화성공정 충방전장비 | 대한민국 |
16 | 특허권 | 파우치형 케이스 폴딩장치 | (주)하나기술 | 2020.04.29 | 2021.08.17 | 조립, 화성공정 장비 | 대한민국 |
17 | 특허권 | 이차전지 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주)하나기술 | 2021.03.09 | 2021.09.28 | 화성공정 충방전장비 | 대한민국 |
18 | 특허권 | 각형 배터리 테두리부 폴딩 시스템 | (주)하나기술 | 2021.04.12 | - | 각형전지 폴딩기 | 대한민국 |
19 | 특허권 | 유리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 | (주)하나기술 | 2012.01.09 | 2013.12.20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0 | 특허권 | 고주파유도가열기를 이용한 유리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 | (주)하나기술 | 2012.08.01 | 2014.06.02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1 | 특허권 |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시스템 | (주)하나기술 | 2021.11.26 | - | 전고체전지 극판, 조립 공정 등압설비 | 대한민국 |
22 | 특허권 | 이차전지의 결함 검사장치 및 그 방법 | (주)하나기술 | 2021.11.26 | - | 조립공정 검사장비 | 대한민국 |
23 | 특허권 | 레이저를 이용한 초박막 유리의 측면 가공 방법 및 가공된 초박막 유리 | (주)하나기술 | 2021.12.08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4 | 특허권 | 전고체용 이차전지 고온 가압시스템 및 방법 | (주)하나기술 | 2022.01.12 | - | 하이브리드 등압프레스 | 대한민국 |
25 | 특허권 |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이차전지 결함 검사시스템 및 방법 | (주)하나기술 | 2022.01.12 | - | 이차전지 결함 검사장비 | 대한민국 |
26 | 특허권 | 내충격성이 강화된 초박막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 (주)하나기술 | 2020.07.22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7 | 특허권 | 주름성이 개선된 유리 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 (주)하나기술 | 2020.07.22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8 | 특허권 | 비접촉 가열부재를 이용한 유리판 측면 가공 방법 및 가공 장치 | (주)하나기술 | 2021.09.24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29 | 특허권 | 초박막 유리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 방법 | (주)하나기술 | 2021.10.01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30 | 특허권 | 절취 금형을 이용한 초박막 유리판 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취 방법 | (주)하나기술 | 2021.10.12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31 | 특허권 | 절단성이 개선된 초박막 유리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 방법 | (주)하나기술 | 2021.10.12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32 | 특허권 | 이차전지 셀 이송 캐리어 | (주)하나기술 | 2022.03.31 | 2022.08.25 | 이차전지 조립설비 | 대한민국 |
33 | 특허권 | 이차전지 셀 디가싱 장치 | (주)하나기술 | 2022.04.22 | 2022.07.29 | 충방전장비 | 대한민국 |
34 | 특허권 |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 (주)하나기술 | 2018.09.07 | 2019.03.11 | 스택 장비 | 대한민국 |
35 | 특허권 | 이차전지의 고속 셀 스택 제조장치 | (주)하나기술 | 2021.01.07 | 2021.09.13 | 스택 장비 | 대한민국 |
36 | 특허권 | 이차전지 전극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속스택장치 | (주)하나기술 | 2022.06.28 | - | 스택 장비 | 대한민국 |
37 | 특허권 | 유리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 (주)하나기술 | 2022.07.11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38 | 특허권 | 이차전지 전극 자동공급장치 및 그 방법 | (주)하나기술 | 2022.07.11 | - | 스택 장비 | 대한민국 |
39 | 특허권 |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시스템 및 그 방법 | (주)하나기술 | 2022.07.21 | - | 등압설비 | 대한민국 |
40 | 특허권 |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 (주)하나기술 | 2022.07.21 | - | 등압설비 | 대한민국 |
41 | 특허권 | 방전을 이용한 초박막 유리의 측면 가공 방법 및 가공된 초박막 유리 | (주)하나기술 | 2022.08.11 | - | 글라스 열면취 가공장비 | 대한민국 |
42 | 특허권 | 이차전지 셀 프리차징 장치 | (주)하나기술 | 2022.09.27 | - | 가압 공정 | 대한민국 |
하나기술의 투자포인트
하나기술의 현재 주가는 2023년 예상실적 기준 PER 12.7배 수준이다. 국내 같은 업종의 기업인 피엔티, 티에스아이, 코윈테크, 에이프로, 이노메트리 등의 평균 PER이 13.7배인 점을 감안하면 약간 낮은 수준이다. 하나기술은 국내 배터리 제조사 3사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수주가 본격화하고 있고, 전방시장의 다변화를 통해 ESS 시장 진출에도 성공했다. 이로부터 향후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예상되며, 주가 상승여력도 큰 것으로 보인다.
몇 가지 투자포인트를 살펴보자. 먼저 이차전지 수주가 확대되고 있다. 올해 3분기 말 수주잔액 1,865억원을 확보한 가운데, 연말에 2~3개의 추가 수주가 예상된다. 여기에 내년 초에 프레이어사로부터 조립공정과 화성공정 장비를 수천억원 규모로 수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고객사에 대한 수주는 국내 기업에 대한 수주보다 수익성이 좋기 때문에 하나기술의 이익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폐배터리 사업도 기대되는 부문이다. 한국환경관리공단 및 에네르마(GS건설 자회사)에 공급 실적을 기반으로 시장 확대 수혜가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기술은 폐배터리 성능 검사 장비 및 완전 방전 장비 등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여기에 신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사업 다각화를 지속하고 있다. UTG(Ultra-Thin Glass) 장비 사업은 원래 상용화 시점을 2023년 하반기로 예상했으나, 실제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제조에 공급되는 시점은 이보다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2022년에는 수익성 회복에 만족하는 수준이었다면 2023년에는 큰 폭의 실적성장이 기대된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프로 (0) | 2022.12.21 |
---|---|
양극재 가격 하락과 관련 업체들의 실적 전망 (0) | 2022.12.21 |
티에스아이 (0) | 2022.12.09 |
이차전지 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 2022.12.08 |
엠플러스 개요와 전망 (0) | 2022.12.07 |